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BT 자격증 기출문제 빈출 유형부터 공부해야하는 이유

by 전나훈 2024. 2. 12.

 

 

환경자격증 시험을 보는 수험생 분들에게
자격증 취득을 위한 사소하지만 중요한 사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공부할 시간은 모자른 데...

지엽적인 문제까지 보느라

어려운 무제를 푸느라
시간을 지체하고 계신다고요?

우리는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자격증은 짧은 기간 안에 빠르게 취득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빈출 유형부터 잡아야하는 이유 2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 CBT 시험은 완전한 문제은행

 
*문제은행 : 문제 빅데이터에서 파트별로 무작위로 출제되는 형태
 
밑에 문제들은 최근 대기환경기사 CBT 문제를 복원한 문제입니다.
 
 
[ 대기환경기사 1과목 - 대기오염개론 기출문제 ]

 

Q. 다음 설명하는 대기분산모델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적용모델식 : 가우시안모델
 - 적용배출원 형태 : 점, 선, 면
 - 개발국 : 영국
 - 특징 : 도시지역에서는 오염물질의 이동 계산,
             영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모델임

 
① OCD
② UAM
③ ISCLT
④ ADMS

 

* 해당 문제 기출 연혁

21년 1회
18년 4회
13년 4회
09년 4회


Q. 다음 중 분산모델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② 2차 오염원의 확인이 가능하다.
③ 점, 선, 면 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④ 지형, 기상학적 정보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 해당 문제 기출 연혁

03년 2, 4회 04년 1, 2, 4회
04년 1, 2, 4회 05년 2, 4회
06년 2회 07년 4회
8년 4회 09년 1회
10년 2회 11년 2, 4회
13년 2회 14년 1회
15년 2회 16년 1회
17년 2회 18년 4회
19년 2회 20년 1회
21년 1회 22년 1회


[ 대기환경기사 2과목 - 연소공학 기출문제 ]
Q. 중유 1kg 중 C 86%, H 12%, S 2%가 포함되어 있었고,

배출가스 성분을 분석한 결과 CO2 13%, O2 3.5% 이었다. 건조연소가스량(Gd, Sm3/kg)은?

 
① 9.5
② 10.2
③ 12.4
④ 16.4

 

* 해당 문제 기출 연혁

03년 2회 04년 2회
05년 4회 09년 4회
12년 1, 2회 13년, 2회
14년 1회 16년 1회
17년 1회 18년 2회
19년 1회  

 

 

Q. A 기체연료 2 Sm3을 분석한 결과 C3H8 1.7Sm3, CO 0.15Sm3, H2 0.14Sm3,
O2 0.01Sm3였다면 이 연료를 완전연소 시켰을 때 생성되는 이론 습연소가스량(Sm3)은?

 
① 약 41 Sm3
② 약 45 Sm3
③ 약 52 Sm3
④ 약 57 Sm3

* 해당 문제 기출 연혁

03년 1회 04년 4회
05년 4회 06년 2, 4회
13년 1회 14년 4회
16년 1회 19년 2회

 


어떤가요?? 비슷한 유형들이 나오는게 느껴지시나요?
 
빈출(고빈도 출제) 문제의 출제 확률이 높다!
 
 

2. 합격점수는 60점

 
자격증 시험은 모두 합격선이 평균 60점인 시험
누가 고난이도 문제까지 섭렵하여 100점을 맞추는 시험이 아닌,
합격선 점수까지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됩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학습은 빈출문제를 학습해서 우선 안정적인 점수를 확보하고
그 이후 남은 시간에 심화문제를 대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빈출유형의 문제들이 수록된 특강으로

학습시간을 줄여보세요

⬇⬇⬇⬇⬇⬇⬇⬇⬇⬇⬇⬇⬇⬇⬇⬇

https://www.edupd.com/lectureMK01/lecture_viewer.htm?here=single_lms&pkcode=&gdcode=GD0199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