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대기환경기사 2회 실기 복원

모두 좋은 결과있으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결과에 관계없이 시험을 준비하는 동안 더 멋진 환경인이 되셨으니
잘 보신분은 이번 자격증을 발판 삼아 더 도약하는 계기로
못 보신분은 다음에 더 잘 준비해서 더 탄탄한 환경인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3 대기환경기사 기사 4회 실기 복원
1. TPH 추출용매 (5점)
답 : 디클로로메탄
2. 토양오염 위해성평가결과 보고서에 작성할 항목 세 가지를 쓰시오. (5점) (지엽적!)
답:
① 위해성평가 목적
② 위해성평가 내용
③ 위해성평가 결과
④ 평가결과분석 및 조치계획
-> 위해성평가결과 보고서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3. 토양정밀조사 3단계 (빈칸 넣기) (6점)
답: 기초조사 - 개황조사 - 정밀조사(상세조사)
4. 토양표면의 전하 빈칸 넣기 (5점)
답: 영구전하, 변동전하(가변전하)
5. 토양환경평가 시 시료채취 지점 개수 (4점)
[해설]
면적(m2)
|
최소지점 수
|
500
|
( 5 )
|
1,000
|
( 6 )
|
10,000
|
( 15 )
|
50,000
|
( 55 )
|
※참고 - 시료채취 지점 수 산정기준
조사면적
|
시료채취 지점 수 산정기준
|
최소지점 수
|
면적≤500m2
|
최소 채취지점수 5개 이상
500m2당 1개 이상
|
5
|
500m2<면적≤1,000m2
|
6
|
|
1,000m2 < 면적 ≤ 2,000m2
|
1,000m2를 초과할 때 부터는 1,000m2당 1개 이상 추가
|
7
|
2,000m2 < 면적 ≤ 3,000m2
|
8
|
|
3,000m2 < 면적 ≤ 4,000m2
|
9
|
|
…
|
…
|
→ 1,000m2를 초과할 때부터는 +5 지점 하여 계산하면 간편합니다.
(예, 15,000m2 : 15 + 5 = 20지점, 31,000m2 : 31 + 5 = 36지점)
6. 다공질매체 내 오염물질의 이동에 관계되는 주요 메커니즘 3가지 (5점)
답:
① 이류(이송) : 지하수 환경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이나 용질이 지하수의 공극유속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현상
② 확산 : 용액의 농도가 불균일할 때 농도가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현상
③ 분산 : 용질이 다공질매체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희석되어 농도가 낮아지는 현상
7. 점토광물 중 1:1격자형 광물과 2:1격자형 광물을 각각 2가지씩 쓰시오. (4점)
답:
(1) 1:1격자형 광물
① 카올라이트(kaolinite)
② 사문석
③ 딕카이트(dickite)
④ 나크라이트(nacrite)
⑤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2) 2:1격자형 광물
①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② 일라이트(illite)
③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④ 사포나이트(saponite)
※참고
2:2격자형 광물 : 클로라이트(Chlorite, 녹니석)
-> 나머지 실기 문제 확인
https://cafe.naver.com/greenstarengine/34745
2024년 토양환경기사 2회 실기 복원(현재 95% 복원, 복원중)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토양환경 > 토양환경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토양환경기사 3회 실기 복원 (2) | 2024.11.02 |
---|---|
[토양환경기사] 토양환경기사 기출문제 이문풀 2 (1) | 2024.10.30 |
[토양환경기사] 토양환경기사 기출문제 이문풀 1 (0) | 2024.10.29 |
[토양환경기사] 2024년 토양환경기사 1회 실기 복원 (2) | 2024.04.28 |
[토양환경기사] 2023년 토양환경기사 4회 실기 복원 (0) | 2023.11.24 |